2025년 하반기,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한 번, 본격적인 경기 부양 정책을 밀고 있습니다.
그걸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까?
1.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전략은 '성장 우선'
현재 행정부의 경제 기조는 한마디로 '성장 최우선'입니다.
빚을 줄이기보다는 성장을 유도해서 부채비율을 낮추겠다는 의도죠.
그 방법으로
- 감세 확대
- 현금 지급 추진
- 금리 인하 압박
2. 정책 수혜 종목은 따로 있다.
그렇다면 이 정책 방향에 수혜를 입는 종목에는 무엇이 있을까요?
ABC 전략이 현재는 가장 대표적입니다.
전략 키워드 | 내용 | 업종 / ETF |
A - America First | 미국 내 제조업 부활 | Texas Instruments, ON Semi, XLI |
B - Blue Collar Boom | 건설, 중장비, 인프라 노동자 부흥 | Caterpillar, United Rentals, DE |
C - Capex Boom | 대규모 설비투자 촉 | AI 인프라주, 반도체, BOTZ ETF |
또한,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질수록 REITs, 배당주, 유틸리티, 중소형주처럼 눌려있던 종목들이 반등할 수도 있습니다.
3. 투자 타이밍
Ai 붐이 충분히 온 것 같다고 느껴졌지만 정책 로드맵을 보면 오히려 본격적인 시작은 내년 초가 될 수도 있습니다.
2025년 하반기에는 감세효과로 소비, 건설, 금융주가 수혜를 받다가
2026년 상반기에 Ai 생산성 혁명으로 관련 주들을 고성장할 가능이 높습니다.
4. 투자자 입장
이런 예상들이 맞고, 트럼프의 경제 전략이 잘 돌아간다는 전제 하에 이런 전략을 짜볼 수 있습니다.
성장주 지속 보유 | 경기 부양 덕분에 상승 여력 있음 |
정책 수혜주 매수 | 건설, 인프라, 금융, AI, 배당주 등 |
눌린 고금리 피해주 매수 | 금리 인하 시 반등 가능성 높은 REITs, 유틸리티 |
리스크 분산 | 버블 우려 구간에선 일부 이익 실현도 병행 |
5. 버블?
어쩌면 버블 장세에 시장이 돌입한 것인지도 모릅니다. 하지만, 버블이든 아니든, 자산 시장은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.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2 사상 최고치 돌파… 시장에 돈이 풀릴 때 벌어지는 일들, 그리고 배울 (7월 30일) (0) | 2025.07.30 |
---|---|
인플레이션 시대, 내 자산을 지키는 투자 전략 (1) | 2025.07.29 |
S&P500 고점 돌파! 지금 미국 주식 들어가도 될까? (1) | 2025.07.26 |
밈주식이 다시 뜨고 있다! 2025년 투자 트렌드가 말하는 시장 신호 (1) | 2025.07.25 |
[IPO]피그마 IPO, 투자할만할까? (1) | 2025.07.24 |